KAIST 정희태 교수팀, 그래핀 상업화를 위한 핵심 난점 해결

그래핀의 결정면을 간편하면서도 대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정희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석좌교수팀은 LCD에 사용되는 액정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 그래핀 단결정의 크기와 모양을 대면적에 걸쳐 쉽고 빠르게 시각화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그래핀의 단결정을 시각화함으로써, 단결정에서 얻을 수 있는 이론값에 가장 가까운 전기 전도도를 직접 측정하는 쾌거를 이뤘다. 현재 제조되고 있는 그래핀은 다결정성을 지니고 있어 단결정일 때 보다 상당히 낮은 전기적·기계적 특성을 보인다. 이는 그래핀의 특성이 결정면의 크기와 경계 구조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왔다. 따라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래핀 결정면의 영역과 경계를 쉽고 빠르게 관찰하는 것이 향후 그래핀의 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상업화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핵심기술로 평가돼 왔다.

이러한 가운데 연구팀은 그래핀을 대면적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 그래핀 상용화분야에서 원천기술을 획득, 향후 그래핀을 이용한 투명전극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와 같은 전자소자 응용연구에도 한걸음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 최고의 액정배향제어기술을 토대로 대면적에 걸쳐 그래핀의 결정면을 누구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학계와 산업계의 가장 큰 난제 중 하나인 대면적에서의 그래핀 특성 평가에 큰 전환점이 되어 양질의 그래핀 제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래핀을 이용한 미래형 전자소자 개발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논문명: Direct visualization of large-area graphene domains and boundaries by optical birefringency)는 지난 20일 나노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Nature Nanotechnology' 온라인 속보로 게재됐다.

◆ 용어설명
▲결정면(crystal face) : 결정의 외형을 나타내는 평면으로 격자면과 평행인 면
▲광학적 특성 : 어느 물질에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킬 때 생기는 특성
▲액정배향제어기술 : 액정의 방향을 일정하게 만드는 기술
▲그래핀(Graphene) : 그래핀은 흑연(그래파이트)의 한 층 한 층을 이루는 얇은 막이 박리된 상태를 의미하며, 탄소 원자가 육각형의 규칙적인 평면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래핀의 한 층은 매우 투명하고 높은 전기전도도를 보이기 때문에, 특히 현재 급격한 가격 상승을 보이는 Indium Tin Oxide (ITO) 투명 전극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의 그래핀의 유연한 성질은 미래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유연하고 접을 수 있는 소자 및 초고속 반도체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탄소 원자가 안정적으로 초박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양자홀 효과와 같은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보이기 때문에, 산업계는 물론 학계에서도 매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신소재이다. 하지만 그래핀을 실질적인 산업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그래핀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액정(Liquid Crystals) : 액체와 같이 유동성이 있으면서 고체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전기-광학적 특성이 매우 뛰어나 LCD 구동을 위한 핵심 물질로 사용된다. 자연계에는 네마틱, 스메틱, 콜레스테릭 등 다양한 종류의 액정이 존재하며, 현재 LCD에 사용되는 액정은, 기판의 표면성질에 따라 배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네마틱 계열의 액정물질이다. 비등방성(anisotropy)을 가지는 액정분자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고유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표면에서 일정방향으로 배향되었을 때 나타나는, 액정물질의 굴절률 차이(복굴절, birefringency)를 이용함으로써 그래핀 도메인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