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식약처 긴급 회동···나노 '안전성 확보' 화두
식약처 신기술 점검할 TF 구축···연구진 "사명감 느껴"

김일두 KAIST 교수가 개발한 마스크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기존 필터와는 달리 나노섬유 격자를 층층이 쌓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사진=KAIST 제공>
김일두 KAIST 교수가 개발한 마스크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기존 필터와는 달리 나노섬유 격자를 층층이 쌓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사진=KAIST 제공>
스무번 빨아도 필터 성능을 KF80~94 마스크 수준으로 유지하는 나노섬유 마스크 개발을 위해 정부와 개발 관계자들이 만났다. 나노마스크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10-3m 작은 나노섬유를 활용하기 때문에 안전성, 인체 무해성을 증명하는 게 관건이다. 

지난 18일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찾아 독자 개발한 나노섬유 마스크 필터 기술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식약처는 김 교수와 미팅을 가진 다음 날인 19일 나노마스크에 대한 검토를 진행할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새로운 검증 기준을 마련하는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와 식약처 관계자가 만난 자리에선 두 가지 안건이 논의됐다. 나노 필터 생산 과정에서 쓰이는 유기용매에 대한 무해성 증명, 나노 입자가 벗겨져 나가는 박리(剝離) 현상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 유기용매가 불안전하거나 나노입자가 몸 안으로 들어올 경우 유해함을 감안한 논의 사항이다.  

이번에 김일두 KAIST 교수가 개발한 마스크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기존 필터와는 달리 나노섬유 격자를 층층이 쌓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김 교수 연구팀은 직경 100~500nm(나노미터) 크기의 나노섬유를 격자 구조로 배치시켜 미세 입자를 막도록 했다. 특히 20번가량 세탁하거나 에탄올 소독 후에도 KF94 마스크 수준의 필터 효율이 유지되는 특징을 지닌다. 

신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유해성, 안전성 등을 검증하는 기준도 새롭게 만들어져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 중인 마스크 중 나노필터를 이용해 허가된 제품은 없다. 마스크는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으로 분류되는 만큼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조업 신고가 필요하다. 또 제품의 안전성, 유해성, 품질 기준 심사를 거쳐야만 품목 허가를 받을 수 있다.

KAIST가 개발한 나노섬유 마스크 필터도 이러한 검증 절차가 남았다. 식약처도 마스크 개발·생산 업체가 나노마스크에 대한 의·과학적 근거와 데이터를 보여주면 안전성·유해성 검토를 위한 법정 처리기한 70일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나노마스크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나노섬유를 활용하기 때문에 안전성, 인체 무해성을 증명하는 게 관건이다. <사진=KAIST 제공>
나노마스크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나노섬유를 활용하기 때문에 안전성, 인체 무해성을 증명하는 게 관건이다. <사진=KAIST 제공>
김일두 교수는 나노섬유에 대한 안전성을 증명하는 실험 데이터를 확보해 코로나19로 촉발된 마스크 품귀 현상 해소에 일조하겠다는 의지다. 

김 교수는 "현재는 나노마스크 필터에 대한 객관적인 실험을 거쳐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무해성을)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보여주는 게 중요한 상황"이라며 "필터의 안전성을 입증할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저를 포함해 연구팀도 사명감을 가지고 일에 몰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남은 절차는 김 교수가 안전성을 입증하고, 나노마스크를 생산할 업체가 식약처에 승인을 요청하면 식약처는 법정 처리기한 70일 안에 이를 검토해야 한다. 식약처는 나노마스크 필터에 대한 안전성 문제만 확보되면, 법정 처리기한 70일보다 상용화 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