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10년 분량 한꺼번에, 고군분투 '이종교 박사' 12시간 강행군바이러스 다루는 실험실 많지 않아, 관련 기업들 요청 쇄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로 보이지 않게 바쁜 곳이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생물안전2등급실험실(BSL2+). 소독, 살균 관련 제품을 개발, 생산하는 기업들의 성능 시험분석 요청이 밀려들고 있다. 최근 두세달 사이 150건 이상(연간 평균의 10배 이상)의 의뢰가 들어왔다. 시험 분석은 바이러스 배양 등 분석 설계부터 데이터 확보까지 짧게는 10일, 길게는 3개월이 걸리기도 한다.

생물안전시설은 일반적으로 병원체 위험도에 따라 1~4등급(BL1~4)으로 나뉜다. 화학연 BL2는 B타입으로 BL2 +로 명명됐다. BL1과 BL3의 특징이 있어 감염성 병원체를 다룬다. 실험실의 생물안전작업대는 헤파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작업 표면위로 순환된다. 작업대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는 필터가 장착된 배기장치 덕트를 통해 배출되거나 순환된다.

바이러스 살균 제품 시험 분석은 BL2 실험실 시설이 필요해 지원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다. 때문에 갑자기 밀려든 기업들의 요청에 이종교 박사는 하루 12시간 정도씩 강행군 중이다. 평가에 반영되지 못해 매년 아슬아슬한 등급을 받지만 기업들에게 꼭 필요하다는 생각에 목에 파스를 붙여가며 오늘도 실험실로 들어간다.

화학연 BL2+ 실험실 내부를 사진으로 담아봤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로 소개할 예정이다.
 

 

한국화학연구원 BL2+ 실험실에 있는 장비. 기업에서 바이러스 살균 제품 성능 의뢰시 밀폐 챔버안에 제품을 넣고 바이러스를 살포(평균 1만마리)해 평가한다. 이종교 박사가 직접 장비를 설계해 만들었다.<사진= 길애경 기자>
한국화학연구원 BL2+ 실험실에 있는 장비. 기업에서 바이러스 살균 제품 성능 의뢰시 밀폐 챔버안에 제품을 넣고 바이러스를 살포(평균 1만마리)해 평가한다. 이종교 박사가 직접 장비를 설계해 만들었다.<사진= 길애경 기자>

 

아래 보이는 액화질소통에 실험에 사용할 바이러스들이 들어있다. 액화질소를 지속적으로 채우며 바이러스를 관리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아래 보이는 액화질소통에 실험에 사용할 바이러스들이 들어있다. 액화질소를 지속적으로 채우며 바이러스를 관리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정면에 보이는 설비가 화학연BL2+ 생물안전 작업대. 위에 덕트가 연결돼 있다. 이런 생물안전작업대를 3개 보유 중으로 공동으로 사용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정면에 보이는 설비가 화학연BL2+ 생물안전 작업대. 위에 덕트가 연결돼 있다. 이런 생물안전작업대를 3개 보유 중으로 공동으로 사용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세포 저장고. 오른쪽은 오염된지 않은 세포를 왼쪽 저장고는 사용한 세포를 보관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세포 저장고. 오른쪽은 오염된지 않은 세포를 왼쪽 저장고는 사용한 세포를 보관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비교적 큰 제품 성능 검사시 활용되는 장비. 이 장비도 안에 제품을 넣고 바이러스를 뿌려 성능을 검사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비교적 큰 제품 성능 검사시 활용되는 장비. 이 장비도 안에 제품을 넣고 바이러스를 뿌려 성능을 검사한다.<사진= 길애경 기자>

 

영하 70~80도의 초저온 냉동고. 바이러스를 오래 보관하거나 오래 보관해야할 바이러스(식중독 바이러스 등)를 보관 중이다. 화학연은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사진= 길애경 기자>
영하 70~80도의 초저온 냉동고. 바이러스를 오래 보관하거나 오래 보관해야할 바이러스(식중독 바이러스 등)를 보관 중이다. 화학연은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사진= 길애경 기자>

 

실험실로 들어서는 이종교 박사. 매일 12시간씩 진행되는 강행군에 목 뒤에는 파스가 여러장 붙어있다.<사진= 길애경 기자>
실험실로 들어서는 이종교 박사. 매일 12시간씩 진행되는 강행군에 목 뒤에는 파스가 여러장 붙어있다.<사진= 길애경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