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은 14년째 1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2001년 일본을 추월한 이후 한번도 1위 자리를 내준 적이 없습니다. 세계 시장 점유율은 48.4%, 연간 수출액은 349억 달러에 달하며 한국이 기술강국임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과의 핵심 요소는 바로 연구소입니다. 디스플레이 연구소는 2001년 129개에서 지난해 말 517개로 300%가 증가했습니다. 기술연구소가 신기술 개발의 견인차 역할을 했고 이 기술을 토대로 세계 1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산업기술진흥협회는 기업연구소의 수가 이번달 안으로 3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글로벌 경쟁력과 직결되는 연구소의 증가는 앞으로 큰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오는 6월 미국에 출시되는 현대의 LF소나타에는 '카플레이(Carplay)'라는 애플의 첨단 솔루션이 장착되는데, '현대차에 장착된 카플레이'가 아니라 '카플레이를 장착한 현대차'로 인식 될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 구글이 고속도로와 시내도로에서 무인자동차 주행을 성공시키면서 이제 '현대차의 경쟁자는 자동차 회사가 아닌 구글'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 기술력입니다.

차세대 스마트카 경쟁에서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하도급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경고도 흘러나옵니다. 삼성전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연구소까지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 구글이나 애플 등과 비교하면 '부족하다'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세계 시장은 기술력이 지배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이견을 가진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과학과 기술의 역할이 새삼 크게 다가옵니다. 경쟁력을 가진 기술 개발이 더욱 절실합니다.

대덕넷이 뽑은 오늘의 뉴스 전해드립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1.[중앙일보] 투명 뇌 만들었다, 걷는 기쁨 퍼뜨렸다
"뇌에 새 창이 열렸다(A new window on the brain opened)"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는 지난해 말 '올해의 10대 연구성과' 중 하나로 정광훈(35)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화학공학·의공학·뇌신경과학과)가 개발한 뇌 투명화 기술(일명 'CLARITY')을 꼽으며 이렇게 평했다.

2.[매일경제] SW역량 못키우면 삼성·현대車도 하도급업체로 전락
삼성전자와 현대·기아차.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자 제조업(Manufacturing)이 본질인 회사들이다. 지금 삼성전자와 현대·기아차의 고민은 '제조업'이 아닌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드웨어 제조를 결합한 구글, 애플, 테슬라 등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글로벌 제조 혁신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3.[한국경제] '투자하기 좋은 곳' 성남·천안·서귀포·…최악은 상주
7일 KLBCI 종합평가 결과 창원시는 서귀포시, 제주시, 고양시에 이어 전체 4위에 올랐다. 분야별로 보면 투자환경 분야에서 창원시는 1000점 만점에서 674점을 받아 2위인 성남시(611점)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세부 부문별로 보면 창원시는 취업기회, 투자지원, 산업인프라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4.[매일경제] 기업연구소 3만개 넘어섰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14년째 세계 시장 1위를 지키고 있다. 2001년 일본을 추월한 이후 단 한 번도 선두 자리를 내준 적이 없다. 세계가 부러워하는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쟁력이다. 비결은 뭘까? 과감한 설비투자와 함께 기업 연구소 역할이 컸다는 분석이다. 디스플레이 연구소는 2001년 129개에서 지난해 말 517개로 300% 증가했다. 해마다 14%가량 증가했다.

5.[조선일보] 수학으로 미술하는 남자
수학은 차가운 머리에서 나온 학문이고, 미술은 뜨거운 가슴에서 나온 예술이다. 감성의 대척점에 놓인 이 두 장르의 접목을 50년 가까이 시도한 작가가 있다. 1966년부터 수학 공식, 도표를 미술 소재로 써온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브네(73)이다.

6.[조선일보] 볼트값 300원 아끼려다 産災로 3명 死亡…年1091명이 그렇게 숨져
작년 7월 26일 오후 5시쯤 울산에 있는 삼성정밀화학 부지 내 폴리실리콘 생산공장 신축 현장. 갑자기 1400t 크기의 물탱크가 굉음(轟音)과 함께 터져 순식간에 3명의 근로자가 숨지고 12명이 부상했다. 초일류 기업 삼성그룹 계열사에서 발생한 대형 사고였다. 사고 원인은 지름 12㎜ 크기의 '볼트'였다. 경찰 조사 결과, 개당 550원짜리 고장력(高張力) 볼트를 써야 할 물탱크 이음 공사에 260원짜리 중국산 또는 360원짜리 국산 일반 볼트를 섞어 쓴 사실이 확인됐다. 2만개 볼트 가운데 4300개가 기준 미달이었다.

7.[조선일보] '내 탓이오!' 외쳐야 할 사회 지도층
꽃 같은 10대 청소년 250명을 포함한 300명이 넘는 사람이 목숨을 잃은 세월호 참사는 대한민국이 안고 있는 뿌리 깊은 구조적 문제들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아직 사고 수습이 끝나지 않고 슬픔이 계속되는 가운데도 어처구니없는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근본 원인을 찾는 작업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그중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이번 참사의 책임을 몽땅 박근혜 대통령과 현 정부에 돌리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