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 해석 모델 개발, 연구성과 '워터 리서치' 게재

염분차발전기술의 이온 전달 원리를 규명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한 김한기 박사.<사진=에너지연 제공>
염분차발전기술의 이온 전달 원리를 규명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한 김한기 박사.<사진=에너지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의 염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염분차발전 상용화에 다가갈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은 김한기 제주글로벌연구센터 박사가 해양 염분차발전 기술의 이온 전달 원리를 규명할 수 있는 수학적 해석 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워터 리서치에 게재됐다.
 
해양 염분차발전은 바닷물과 민물 사이의 염분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다. 높은 에너지 잠재량을 갖고 있어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해양 염분차발전 기술인 역전기투석 방식은 해수 내에 포함된 이온이 이온교환막을 통해 이동하면서 얻어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최근 '세공충진형 이온교환막' 등 핵심 기술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나, 기존의 수학적 해석 모델로는 다양한 이온교환막의 이온 전달 원리를 규명할 수 없어 정확한 성능을 분석하기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진은 '전도성 이동 거리'로 명명한 개념을 기존의 수학적 해석 모델에 도입해 이온교환막 내의 이온 전달 원리를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전도성 이동 거리란 세공충진형 이온교환막 내 친수성 나노 기공을 통한 이온의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이온교환막 내 나노 기공의 비율과 전기 전도도를 계산하고 기존의 모델에 적용하면 다양한 이온교환막의 특성에 따른 이온 전달 해석 결과와 역전기투석의 성능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연구진은 개발한 해석모델이 세공충진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이온교환막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기술 상용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한기 선임연구원은 "이번 해석 모델링 개발을 바탕으로 상용화 수준의 역전기투석 장치의 설계 및 성능 예측이 가능해 기술 개발을 가속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이온교환막 및 스택 등의 소재·부품 국산화 기술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