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유전체 정보 분석·관리 통해 개인 맞춤형 질환 관리
산·학·연·병 협력체계 구성···"유전체 서비스 시장 성장 이룰 것"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이 차세대 한국인 유전체 분석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착수한다고 11일 발표했다.

김선영 유전체맞춤의료전문연구단 박사 연구팀은 2022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와 대전시가 총 140억원을 투입하는 '유전자의약산업진흥 유전체 분석시스템 구축사업'의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

현재 인간 게놈 한 명을 해독하는 비용은 약 1000달러 정도로 이전보다 낮아졌으며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게놈 해독 비용이 감소하면서 개개인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맞춤형 진단을 수행하는 정밀의료 분야도 빠른 발전 및 산업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밀의료 및 개인 맞춤형 질환 관리를 위해서는 유전체 해독기술 발전이 필수적이다. 또한 중증 질환의 진단 및 임상의학적 문제해결을 위한 유전체 정보 분석기술 실용화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화두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대용량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최신 염기서열 분석장비를 운용해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생산하는 유전체 정보 생산 플랫폼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펩타바이트(peptabyte) 수준의 대용량 유전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정보를 분석하는 파이프라인 및 해석 시스템을 관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중증질환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반 조기진단 기술 사업화(조기진단) ▲임상검증을 통한 유전체 기반 질병 위험도 예측 및 진단기술 사업화(진단기기) ▲산·학·연·병 협력체계 기반 유전체 사업화를 통한 혁신기업 창출(혁신기업) ▲빅데이터 분석결과 공유 및 활용을 위한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컴퓨팅 시스템 확보의 4개 항목을 목표로 추진된다.

생명연은 다양한 연령대의 정상인 및 코호트 바이오뱅크를 구축하고 질병을 진단·예측하기 위한 유전체 바이오마커 개발 기술을 확립해 산·학·연·병 협력 체계를 유기적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는 생명연을 비롯해 충남대학교병원, 한국한의학연구원,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한다.

김선영 박사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의 발전과 비용 감소와 유전체 서비스 시장의 고성장을 기대한다"고 언급하며 "산·학·연·병이 협력해 차세대 한국인 유전체 분석시스템 기술을 확보하고 세계 최고의 시스템 개발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전자의약산업진흥 유전체 분석시스템 구축사업 개요. <사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유전자의약산업진흥 유전체 분석시스템 구축사업 개요. <사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