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실증 연구와 2017년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
국내·외 전문가 18명 "관련성 떨어져···향후 CCS 가동하려면 지진 모니터링 必"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실증(CCS) 사업에 따른 주입 행위는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과 관련성이 없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KSEG)는 24일 서울대에서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CO2) 저장 실증 연구와 2017년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 연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KSEG는 보고서를 통해 "CCS 프로젝트가 2017년 11월에 발생한 포항지진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며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는 부지 특성화, 저장 층 시뮬레이션, well-test,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계획되고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은 이진한 고려대 교수, 김형수 중원대 교수, 노명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박사, 권대수 경북 자연재난과 지진방재팀장, 마크 조벡(Mark Zoback) 스탠포드대 교수, 하루오 사토(Haruo Sato) 도호쿠대 교수 등 국내·외 연구진 18명으로 구성됐다.

조사연구단은 ▲포항 일대 지질정보 조사 ▲포항 일대 광역적인 지진활동도 조사 ▲포항지진의 전진과 여진에 대한 진원 위치 추정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 주입 행위 검토 ▲국외 CCS 프로젝트 사례 분석 ▲향후 국내 CCS 프로젝트를 위한 개선방안 등을 제시했다. 

CO2 주입 행위가 포항지진을 일으켰다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배경으로는 주입된 CO2 양은 지나치게 적은 양이고, 실제 CO2 주입 비율을 고려할 때 주입 행위가 지각의 급작스러운 변형을 만들긴 어렵다는 것이다. 또 주입된 CO2가 포항 지진의 진앙 방향으로 확산돼 지진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했다.

조사연구단은 아울러 저장 대상 지층은 공공수용성이 확보되면 연간 2만t 주입을 목표로 하는 CCS 실증 프로젝트에 사용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경북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진 활동성을 갖는 점을 고려할 때, 지진 활동성 평가와 별도의 미소지진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지진 재해 발생 시 보험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포항 영일만 시설은 실증 연구용으로 최대 약 1만t의 CO2가 주입될 예정이었으나 포항 지진 이후 모두 중단된 바 있다. 향후 활용 여부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지속될 전망이다.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은 CO2 주입 행위가 포항지진을 일으켰다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 배경으로는 주입된 CO2 양은 지나치게 적은 양이고, 실제 CO2 주입 비율을 고려할 때 주입 행위가 지각의 급작스러운 변형을 만들긴 어렵다는 것이다. 또 주입된 CO2가 포항 지진의 진앙 방향으로 확산돼 지진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했다. <사진=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제공>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은 CO2 주입 행위가 포항지진을 일으켰다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 배경으로는 주입된 CO2 양은 지나치게 적은 양이고, 실제 CO2 주입 비율을 고려할 때 주입 행위가 지각의 급작스러운 변형을 만들긴 어렵다는 것이다. 또 주입된 CO2가 포항 지진의 진앙 방향으로 확산돼 지진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했다. <사진=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