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하·구자욱 뇌연구원 박사 연구팀 국제 공동 연구 진행
우울증 일으키는 'Gadd45b' 유전자 기전 밝혀···진단, 치료에 보탬될 전망

한국뇌연구원은 정윤하 박사(좌)와 구자욱 박사(우)가 뇌성장유래인자(BDNF)가 포함된 신호 전달체계에서 'Gadd45b'라는 유전자가 우울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혀다. <사진=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은 정윤하 박사(좌)와 구자욱 박사(우)가 뇌성장유래인자(BDNF)가 포함된 신호 전달체계에서 'Gadd45b'라는 유전자가 우울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혀다. <사진=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원장 서판길)은 정윤하·구자욱 박사와 미국 마운트사이나이 대학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이 사회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증을 일으키는 새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울증은 유전적 기질보다 후천적 요인이 많이 작용한다. 특히 지속적인 갈등, 폭력 등 사회적 스트레스 현상은 우울증의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사회적 스트레스를 받아도 개인에 따라 우울 정도가 달라지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또 측좌핵에서 뉴런의 발생, 분화, 성장과 시냅스 기능 조절 등에 관여하는 뇌성장유래인자가 우울행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졌으나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뇌성장유래인자(BDNF)가 포함된 신호 전달체계에서 'Gadd45b'라는 유전자가 우울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실험동물 마우스에 '장기 사회패배 스트레스'(폐쇄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를 준 뒤 우울행동을 많이 보인 그룹을 조사하자 'Gadd45b'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했다.

'Gadd45b'는 본래 신경가소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으며 기억과 학습 과정에도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유전자가 우울증 발병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Gadd45b'는 평소에는 억제돼 있던 타깃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행동을 증가시켰다. 특히 유전자에서 활성을 억제하는 메틸기를 떼어내는 'DNA 탈메틸화' 기전을 이용해 우울행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자욱 책임연구원은 "후속 연구를 통해 특정 개체가 사회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취약한 이유와 이런 성향이 자식에게 유전되는지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우울증 진단과 치료제 연구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으며 제1저자는 정윤하 박사, 교신저자는 구자욱 박사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