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윤 KAIST 교수 연구, 이노시톨 대사효소 역할 규명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공포증 등 뇌질환 치료 연구 활용 기대

공포기억에 무덤덤해지도록 우리 뇌를 조절하는 효소가 발견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김세윤 KAIST 교수 연구팀이 뇌의 흥분성 신경세포에서 이노시톨 대사효소를 제거함으로써 공포기억의 소거 현상이 조절되는 것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현대 신경생물학의 핵심주제 중 하나가 기억이 만들어지고, 지워지는 것을 알아내는 것이다. 특히 인간의 정신건강과 생활에 문제를 초래하는 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한 공포기억의 소거 과정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했다.

이에 연구팀은 뇌의 흥분성 신경세포에 발현되는 이노시톨 대사효소가 공포기억의 소거 조절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이 생쥐의 흥분성 신경세포에서 이노시톨 대사효소를 제거하자, 공포기억의 소거 반응이 촉진됐다. 이 효소가 제거된 생쥐의 편도체에서는 공포기억의 소거 반응을 전달하는 신호전달계의 활성화를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노시톨 대사효소는 음식으로 섭취되거나 생체 내에서 합성된 이노시톨을 인산화해주는 효소이다. 이번 연구로 이노시톨 대사가 세포 성장, 신진대사 뿐 아니라 뇌기능 조절에도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김세윤 교수는 "큰 사고나 트라우마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공포증 등 심각한 뇌질환들을 이해하고, 치료 타깃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노시톨 대사효소의 신경계 신호전달 조절에 관한 분자적 작용과정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초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는 존스 홉킨스 의대, 뉴욕대, 컬럼비아 의대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PNAS'에 지난 달 28일자로 게재됐다.

이노시톨 대사효소가 제거된 생쥐의 공포기억 소거 증진.<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이노시톨 대사효소가 제거된 생쥐의 공포기억 소거 증진.<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