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해수부, '컨테이너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는 블록체인 기술을 항만물류에 활용해 서비스를 한다고 18일 밝혔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는 블록체인 기술을 항만물류에 활용해 서비스를 한다고 18일 밝혔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1 운송기사 A는 터미널 ㄱ 에서 터미널 ㄴ으로 컨테이너를 옮겨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하지만 컨테이너 위치가 어딘지 알 수 없어 터미널 게이트에서 종이로 된 위치문서(인수도증)를 전달받아야 했다. 이 과정에서 정체가 길어지며 대기시간으로 시간을 허비했다.

#2 운송사 B는 소속 트럭이 컨테이너를 옮긴 뒤 빈차로 돌아오는 일이 잦다. 컨테이너를 터미널 ㄱ에서 터미널 ㄴ으로 옮긴 뒤 그 곳에서 다른 컨테이너를 싣고 옮길 수 있다면 운송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데 지금 시스템은 정보를 알 수 없다.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며 부두 간 컨테이너 이동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블록체인 기술을 항만물류에 활용하는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 발급 서비스'를 구축했다고 18일 밝혔다.

부산항은 환적 규모 세계 2위(싱가포르 1위)로 환적 화물을 다른 부두로 옮겨 출항하는 타 부두 환적(ITT)이 전체 환적 물동량의 16%에 달해 선사, 운송사, 터미널 운영사 등 항만물류주체 간의 정보 공유가 중요하다.

정보 공유를 위해 무선, 이메일, 팩스 등 통신 수단이 이용되지만 테이터 누락, 통신 오류로 인한 수정작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비효율적이었다. 또 터미널 내 컨테이너 상, 하차 위치를 알려주는 컨테이너 반출입증을 종이문서로 운전기사에게 발급하는 과정에서 터미널 게이트에 정차된 운송 차량으로 인해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번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 발급 서비스'는 타 부두 환적 시 필요한 컨테이너 목록, 배차계획, 위치정보 등을 블록체인에 저장, 공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선사, 운송사, 터미널 간 단절된 운송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어 불필요한 오류를 줄이고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전자 반출입증을 발급, 운송기사들이 실시간 배차 사실을 인지하고 반출입 컨테이너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운송 업무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현행 컨테이너 환적 업무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향상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시범 서비스는 올해 12월부터 1년 동안 부산 신항에서 일부 항만 물류업체를 대상으로 운영된다. 향후 해수부는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해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다른 항만의 적용, 확산을 검토할 예정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블록체인 기술이 항만물류처럼 다양한 당사자들이 참여하고 데이터 공유가 중요한 분야에서 활용돼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서비스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수부 관계자도 "항만 물류에서도 데이터 실시간 공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으로 계기로 블록체인을 통해 우리나라 항만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