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한 제도 운영도 필요, 악용 사례는 철저히 제재"
"융합연구 문화 장점 보며 더 큰 시너지 낼 수 있어야"
연구회 관계자 "산업생태계 조응과 EXIT 모형 필요"

"융합연구는 말 그대로 함께 연구하는 것이지만 과도한 조건으로 꼭 필요한 연구자와 같이 못하는 경우도 있었어요. 신뢰를 기반으로 유연한 조직 운영을 할 수 있다면 융합연구도 좀 더 활성화 되겠지요."(융합연구단 단장)

"목표설정 단계부터 원천성과 상관성의 균형점에서 전략적인 고민과 선택이 필요합니다. 또 연구경영자가 주도적으로 정의하고 긴장하는 전략적 사고가 요구되고요. 성과를 내고 있는 융합연구단의 경우 이런면이 돋보입니다."(연구회 관계자)

융합연구단 활성화를 위한 고민은 진행형이다. 출범 3년을 맞으며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되지만 운영면에서 여전히 넘어서야 할 난제들이 곳곳에 놓여있다. 융합연구단 연구자, 지원을 맡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 관계자는 융합연구 활성화와 지속을 위해 논의를 해 나가고 있다.

2014년 처음 융합연구단이 발족하며 우려와 걱정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연구자간 일몰형 연구와 협력이 가능할까, 다른 연구기관에 가서 불편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을까, 기관별로 다른 기존 제도적 문제들이 어렵지 않을까 등 반신반의가 컸다.

각각의 연구단은 목표에 맞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까, 연구자는 복귀하면 단절 없이 연구에 참여할 수 있을지 염려도 많았다. 특히 연구단을 이끈 단장들은 기존에 없던 연구문화를 만들어가며 정해진 기간 안에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압박감으로 다가왔다고 고백한다. 단장은 연구단의 실질적인 운영을 맡은만큼 연구와 경영 리더십을 그대로 평가받는 무대이기도 했다.

예산과 지원을 맡았던 연구회도 긴장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단마다 한해 예산 100억원(기관과 매칭)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연구회 예산의 대부분이 융합연구에 투입된다는 말이 나올정도였다. 기대하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 연구자의 부담을 줄이는 것도 연구회의 몫이었다. 연구회는 연구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 과제의 매년 평가 방식 대신 중간 점검과 3년째 최종평가로 진행했다.

연구자와 연구회는 서로 다른 입장이지만 융합연구 활성화을 위한  열망과 고민의 궤는 같았다.

◆연구자 건의 1 "연구자 신뢰하며 제도 유연성 필요"

"초기에는 무조건 100% 연구 참여 제한 규정으로 일몰형 융합연구단을 꾸리는 것조차 어려웠어요. 기존에 하던 과제들이 있는 상태이니 모두 중단하고 올수는 없죠. 그리고 일몰형 연구에 참여하기로 한 연구자는 우리 기관에서 모든 지원을 해야하는데 내부에 그런 규정이 없어 처음에는 정말 우왕좌왕하기도 했죠. 안정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했어요."

융합연구단 참여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하는 호소는 제도의 유연성이다. 일몰형 연구는 융합연구단 주관기관에서 연구 공간을 마련하면 내외부 연구자들이 한 공간에서 같이 연구하는 구조다. 외부기관에서 참여한 연구자는 당연히 낯선 환경에 놓이게 된다. 주관 연구기관은 외부 연구자를 위한 규정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 규정을 수정하기도 해야한다. 

한 예로 ㄱ 연구기관은 외부기관 참여 연구자 지원을 위해 출입증은 물론 사무용품 구입 규정까지 새롭게 만들었다. 기존에 외부 인력을 내부 직원과 똑같이 지원한 사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기관이나 연구자 모두 번거로움 속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내야 했다.

A 연구자는 "연구 진행을 위해 꼭 같이 했으면 하는 연구자가 있었는데 초기에는 100% 규정에 묶여 함께 못한 경우도 많다. 연구회에 건의해 지금은 80%정도로 낮아졌지만 신뢰를 기반으로 제도의 유연성도 마련되면 좀더 활성화 될 것"이라면서 "물론 제도를 악용해 이름만 올리는 연구자가 있다면 엄격하게 제재 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출연연 연구자인 경우는 이동이나 합류에 큰 무리가 없었다. 하지만 서울 지역 출연연 소속 연구자가 대덕에서 자리잡기까지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상황에 따라 은퇴과학자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연구자 건의 2 "사업화까지 시간 필요, 연구단 기간 보완필요"

"융합연구단 과제는 처음부터 분명한 미션이 있어 연구 집중도가 높습니다. 그런데 3년, 6년이라는 운영 규정에 따라 한창 연구 몰입도가 높은 시점에 그냥 해체하는 것은 굉장한 예산 낭비, 자원 낭비라고 생각됩니다. 사업화 지원을 위한 추가 제도 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융합연구단 운영은 실용화형은 3년, 미래선도형은 3년 연구 후 평가에 따라 3년이 추가돼 6년간 운영된다. 기간이 끝나면 융합연구단은 해체되고 일몰형 연구에 참여했던 연구자는 소속기관으로 복귀하게 된다.

B 단장은  "융합연구단은 기존 프론티어 과제와 달리 인력이라는 하드웨어 이동을 포함한 것이다. 이부분은 잘한 것 같다. 같은 연구자가 오라고 했으면 안 왔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융합연구가 원활하게 이뤄지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게 사실이다. 전혀 다른 환경에서 길게는 수십년, 짧게는 몇년씩 연구하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여서 맞춰가는게 생각보다 어렵더라"고 말했다.

몇몇 연구단장에 의하면 일몰형 연구단이 안정되기까지 1년이상의 시간이 소요됐다. 길게는 2년정도 걸리기도 했다. 50대 연구자가 30대 연구자와 책상을 맞대고 논의하며 연구하는 일이 처음에는 어색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장점이 많음을 발견하고 익숙해졌다. 이처럼 각각의 노력끝에 융합연구의 장점에 공감하며 연구에 몰입하게 됐다. 

C 단장은 "현재 융합연구단은 3년, 6년 정해진 시점에 따라 그대로 해체되는 되는데 사실 미래 선도형 연구도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10년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면서 "지금처럼 6년에 끝나고 해체되면 기술 숙성에 문제가 올 것이다.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이나 미래선도형 기술 개발에 맞게 유연한 운영기간도 고려해보면 좋겠다. 물론 모든 과정이 투명해야 한다"고 입장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개인적 욕심이 아니라 같이 고민하며 문제를 해결하다보니 융합연구가 큰 장점이었다. 연구자로서 인력과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라면서 "6년 마치고 본래 기관으로 복귀했을 때 연구자의 후속연구도 걱정이다. 성과가 확실하게 나오는 연구단은 강소조직으로 갈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B 단장은 성과 압박의 부담도 호소했다. 그는 "융합연구단에 대한 관심이 많다보니 연구자나 평가위원 모두 부담스러웠던것도 있다.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해 플랜을 3개이상까지 마련하다 보니 주말에도 근무하는 것은 기본, 수시로 단체SNS에 불이 날 정도였다.  젊은 연구자들이 불만을 제기한 경우도 있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연구자는 샐러리맨과 달라야 한다고 젊은 연구자들에게 강조한다. 하지만 달라진 시대 상황에 눈치가 보인다"면서 "연구자라면 누구나 성과를 내고 싶어 한다. 악용 사례로 전체를 지적하기보다 장점을 보면서 융합연구가 활성화되고 장점을 발휘하며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한편 연구회 관계자는 "융합연구단 사업이 종료되며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지만 산업생태계와 조응하지 못하면서 기술역량이 유지되지 못하고 융합연구 역량도 빠르게 후퇴하고 있다"면서 "연구회 차원에서 지원 인력의 역량 강화도 필요하고 우수한 융합사업과 성과확산을 위한 Exit 모형이나 TLO 연계 모형 고민도 필요한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