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호 KAIST 교수, 문세연 전북대 교수팀 공동 연구
플라즈마 내 중성기체 흐름의 주요 원리 알아내

플라즈마 응용 기술 발전을 위한 실마리가 제시됐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최원호 물리학과 교수가 문세연 전북대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전기 바람(Electric wind)이라 불리는 플라즈마 내 중성기체 흐름의 주요 원리를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입자 무리로 구성된 유체역학 문제는 수세기 동안 뉴턴을 포함한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받았다.

전자나 이온과 중성입자 간의 충돌로 인한 상호작용은 지구나 금성의 대기에서도 일어나는 여러 자연현상의 기초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즈마에서의 전기바람은 이 상호작용을 통해 나온 결과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전기바람이란 전하를 띈 전자나 이온이 가속 후 중성기체 입자와 충돌해 발생하는 중성기체의 흐름을 말한다. 선풍기 날개처럼 기계적인 움직임 없이 공기의 움직임을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이며, 기존의 팬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플라즈마 기술을 적용해 트럭, 선박에서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연료효율의 증가와 미세먼지 발생 감소, 풍력발전기 날개 표면의 유체 분리(flow separation)의 완화, 도로 터널 내 공기저항 및 미세먼지 축적 감소, 초고층 건물의 풍진동 감소와 같은 응용기술 개발이 여러 나라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 내에 전기장이 강하게 존재하는 공간에서 전자나 이온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면 전기바람이 발생한다. 전기바람의 주요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유체 제어 등의 응용분야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해 전기바람 발생의 전기 유체역학적 원리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전기 유체역학적 힘에 의한 스트리머 전파와 공간전하 이동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비교했다. 

연구팀은 스트리머 전파는 전기바람 발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스트리머 전파 이후 발생하는 공간전하의 이동이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특정 플라즈마에서는 음이온이 아닌 전자가 전기바람 발생의 핵심 요소임을 확인했다.

헬륨 플라즈마에서 최고 초속 4m 속력의 전기바람이 발생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태풍 속력의 4분의 1 정도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기바람의 속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초 원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최원호 교수는 "대기압 플라즈마와 같이 약하게 이온화된 플라즈마에서 나타나는 전자나 이온과 중성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학문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향후 경제적이고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플라즈마 유체제어 분야를 확대하고 다양한 활용을 가속화하는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핵융합연구소의 미래선도플라즈마·농식품융합기술개발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의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R&BD)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1저자로는 박상후 박사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달 25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약전리 대기압 제트 플라즈마 사진. 전극이 양으로 또는 음으로 대전됨에 따라 플라즈마 내부구조가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자료=KAIST 제공>
약전리 대기압 제트 플라즈마 사진. 전극이 양으로 또는 음으로 대전됨에 따라 플라즈마 내부구조가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자료=KA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