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로봇혁명' 신호탄 中]정부 '로봇혁명 집중 시행기간' 선정
로봇생산 국가에서 활용 국가로···서비스 로봇 20배 육성 목표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를 로봇혁명 집중 시행기간으로 선정했다. 서비스 로봇 규모를 20배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제공>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를 로봇혁명 집중 시행기간으로 선정했다. 서비스 로봇 규모를 20배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제공>
2020년 도쿄올림픽은 로봇올림픽으로 개최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기업·민간 등은 세계에 로봇강국임을 각인시키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는 '로봇생산' 국가에서 '로봇활용' 국가로 도약을 위해 2020년 도쿄올림픽을 로봇올림픽으로 개최한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지난 1964년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일본이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2020년 도쿄올림픽을 새로운 혁신의 장으로 만든다는 시도다. 중심은 로봇이다.

도쿄올림픽에는 최첨단 과학기술이 투입된다. 경기장 어느 각도에서도 입체적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공중 투영 기술과 보행을 돕는 보행 로봇, 다국어 안내 로봇, 경기장 이동 자율운전 버스 등이 전면에 배치된다.

일본은 로봇혁명에 가속도를 붙이기 위해 전략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결정된 '일본재흥전략'에 기반해 지난 2014년 9월 총리실 산하에 '로봇혁명실현회의' 조직을 출범했다. 로봇혁명실현회의에서 2015년 1월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로봇신전략'을 발표했다.

로봇신전략의 구체적인 3대 목표는 ▲세계 제일의 로봇 활용사회 ▲세계 로봇 혁신 거점 ▲세계를 선도하는 로봇 신시대 전략 등이다. 지난 2015년 5월에는 3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로봇혁명 주도 협의회'를 설립하기도 했다.

또 일본은 오는 2020년까지를 '로봇혁명 집중 시행기간'으로 선정해 정부·민간에서 9800억원 규모로 로봇 관련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일본은 로봇시장 규모를 2020년까지 제조 로봇은 현재보다 2배, 서비스 로봇은 현재보다 20배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일본이 로봇혁명을 내건 이유는 로봇 올림픽 개최뿐만 아니다. 일본에서 장기간 풀지 못한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감소 등의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이유도 크다.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노동인구 감소와 노인 보호, 부양, 사회보장비 급증 등과 같은 국가적 난제에 직면해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로봇에 의해 모든 노동 작업의 자동화를 계획하고 있다.

일본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48년까지 총인구가 1억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40대 중반의 취업활동 인구는 2040년에는 3분의 1로 현저히 줄어든다. 생산가능인구는 1995년 약 8726만명을 정점으로 2016년에는 약 7661만명, 2040년에는 6000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국내 로봇산업 한 전문가는 "로봇 산업의 핵심 역량이 하드웨어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소프트웨어로 전환되고 있다"라며 "미국과 비교해 제조 측면에서는 강하지만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일본이 로봇 소프트웨어에 투자 비중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로봇산업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주도의 로봇혁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로봇경쟁에 도전장을 내걸고 세계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일본 정부 전략에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소프트뱅크는 이번달 21일부터 22일까지 'SoftBank Robot World 2017' 행사를 가졌다. 소프트뱅크 대표 로봇인 페퍼를 중심으로 청소·운송·건설 등의 분야 로봇을 국민에게 소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