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구 한양대 교수 "유방암 표적 정밀 치료 가능성 제시"

임상 의료 정보 분석을 통한 RBP2와 항호르몬 치료제 타목시펜(tamoxifen)내성 연관성 규명.<그림=연구팀 제공>
임상 의료 정보 분석을 통한 RBP2와 항호르몬 치료제 타목시펜(tamoxifen)내성 연관성 규명.<그림=연구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유방암 치료제 내성을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공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을 표적 치료하는 항호르몬 치료제에 대해 내성을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항호르몬 치료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 활성을 억제해 유방암 증식을 막는 치료제를 뜻한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종양 증식을 하는 유방암 종류다. 전체 유방암의 약 7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 20~30%는 치료에 대한 내성이 생겨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현재까지 정확한 재발의 기전과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임상 의료 정보 분석과 동물실험으로 RBP2 유전자(염색체 구조를 촘촘하게 만들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활성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 항호르몬 치료제의 내성을 유발하며, RBP2 유전자 활성 억제가 항호르몬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시킨다는 사실을 밝혔다. 

공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방암의 약 70%에 차지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을 치료할 때 RBP2 유전자가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며 "현재 개발 중인 RBP2 활성 저해제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치료 내성에 대한 표적 정밀 치료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암연구 분야 학술지 '미국 국립 암연구소 학술지(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에 12일자 온라인판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