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우 고려대 교수 연구팀, 기억T세포와 인터루킨-7 역할 확인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등 만성 알레르기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한국연구재단(이상 조무제)은 정용우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알레르기를 지속하는 데 필수적인 기억 T세포를 발견하고 T세포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인터루킨-7의 핵심역할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알레르기는 외부 물질에 과민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평생에 걸쳐 발병하는 만성질환인 경우가 많다.

그동안 T세포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만성화되고 특정 계절마다 또는 수년간 증상이 사라졌다가 다시 발생하는지 상세한 기작과 치료법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천식을 유발시킨 생쥐의 허파와 기관지에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기억 T세포의 존재를 확인했다. 기억T세포는 항원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림프절에서 자가 증식하고 지속적으로 허파로 이동하며 숫자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알레르기를 재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루킨-7의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항체를 투입했을때 기억T세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 인터루킨-7이 기억 T세포의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11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정용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억 T세포와 인터루킨-7이 만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과정을 규명했다"며 "향후 기억 T세포들을 타겟으로 하는 알레르기 치료법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용어설명
▲기억T세포: 항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면역세포로 감염된 세포, 비정상적인 세포를 죽이거나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을 돕는 기능을 한다.
▲인터루킨-7: 백혈구가 생성해 자신 또는 다른 백혈구의 기능과 생존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로 T세포와 B세포의 발달, 생존, 증식에 관여한다.

허파에 존재하는 알레르기 유발 기억 T세포의 항상성 기작 규명.<사진=한국연구재단>
허파에 존재하는 알레르기 유발 기억 T세포의 항상성 기작 규명.<사진=한국연구재단>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