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원 과기정통부 부단장 "위원회 구성 중"
대전시·이상민 의원 '4차 산업혁명과 대응전략' 세미나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왼쪽부터 신성철 KAIST 총장, 김정호 KAIST 연구처장, 김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단장<사진=길애경 기자>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왼쪽부터 신성철 KAIST 총장, 김정호 KAIST 연구처장, 김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단장<사진=길애경 기자>
"4차 산업혁명에 앞서 정부의 역할은 규제를 줄이고 기초원천기술을 개발해 공공수요 창출로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또 새로운 시기에 맞는 법제도를 정비하고 사회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구체적인 정부 대응책은 9월중 가시화 될 것이다. 현재 위원회를 구성 중이다."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전시와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1일 오전 10시 30분 한국화학연구원 디딤돌플라자 4층 대강당에서 산학연관민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과 그 대응전략' 세미나를 마련했다.

세미나는 김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부단장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새정부의 정책 방향', 김정호 KAIST 연구처장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과 전략추진 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정원 부단장은 이상민 의원이 "대전시를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방향이 맞는가"라는 질문에 "맞다"라고 답변하며 발표에 나섰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의 동인 기술로 이미 알려진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5가지를 들었다. 그는 "그동안 기술변화로 사회와 제도가 바뀌었듯이 4차 산업혁명 이후에도 크게 달라질 것이다. 매킨지와 연구한 결과 산업분야에서는 데이터 확보가 경쟁원천이 될것"이라고 강조했다.

매킨지 보고에 의하면 4차 산업혁명 이후 노동분야는 49.7%의 자동화가 예상된다. 인공지능과 로봇 등으로 100% 대체 가능한 직업은 0.3%. 하지만 20%이상 자동화가 가능한 직업은 86%로 직무 구성내용이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김 부단장은 "4차 산업혁명 이후에 대해서는 엇갈린다. 기술이 일자리를 줄인적 없다고 보는 낙관론과 반대입장인 비관론이 엇갈리고 있는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에 대해 김 부단장은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기술 수준이 높지 않다. 미국이 앞서고 일본과 중국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인프라면에서 우리의 강점이 있어 지금부터 잘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정부의 역할도 언급됐다. 그가 든 정부 역할은 ▲규제완화 ▲기초원천연구 R&D ▲공공수요창출 ▲인재양성 ▲사회안전망 강화 ▲법제도 정비 등이다.

김 부단장은 정부의 역할에 대해 "규제개선 필요성이 거의 매일 기사에 나올 정도로 많다. 그런데 규제는 누군가의 안전, 생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들이 많아 쉽게 개혁이 이뤄지지 않는다. 정부 국회 시민단체 국민이 함께 논의해야 한다"면서 "가장 큰 문제는 인재양성이다. 전문가도 많지 않고 해외에 나가있다. 그들을 영입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 중이다. 오는 9월 첫 회의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추진정책이 구체화 될 것"이라면서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해 정부는 과학기술을 더욱 강조할 것이다. 바이오, 나노, 소재 등을 중요 포지션으로 놓고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호 연구처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과 전략추진 정책'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데이터를 강조했다.

그는 "미래는 데이터가 지배한다. 인공지능 기술이 가능한 것도 컴퓨팅 성능이 향상되고 빅데이터와 딥러닝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면서 대전시에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전략을 제안했다. 김 처장이 든 전략은 4차 산업혁명 본질 이해, 인재양성, 인프라, 중소기업 혁신 지원 등이다.

발표자와 참석자간 질의 응답은 신성철 KAIST 총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택시업을 한다고 밝힌 참석자는 "자율주행차로 택시업이 사라질 것 같다. 자율차의 성능이 어느정도이며 언제쯤 나올지 궁금하다"고 질문했다.

이에 대해 김 부단장은 "2020년, 2030년께 자율차가 나올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운전 관련 직업도 어린이집 등 디테일한 서비스가 필요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모두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신 총장 역시 "인공지능에 비해 사람은 감성이 있다. 자율차보다 서비스가 못하면 자율차를 타겠지만 사람만이 줄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면 택시업이 모두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앞으로 우리는 인간다움을 키워야 한다. 학교 교육도 창의력, 통찰력, 감성, 지혜를 키우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조언했다.

국방 분야 연구자라고 밝히 참석자는 인공지능 전문가 육성의 시급성을 제안했다.

그는 "국내에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가 없다. 시설만 만들어놓고 사람이 없는 상황으로 해외에서 초빙하려하는데 쉽지않다"면서 "국방관련 기술 중 4차 산업혁명과 연계된 기술이 많다. 특히 군 장비 데이터를 수집할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인력 확보를 위해 정부 관계자와 정책 결정자들의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신성철 KAIST 총장, 오덕성 충남대 총장, 김인호 ADD 소장, 권선택 대전시장,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비롯해 출연연 과학자, 시민 등이 참석했다.

이상민 국회의원과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과 그 대응 전략' 세미나를 가졌다.<사진=길애경 기자>
이상민 국회의원과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과 그 대응 전략' 세미나를 가졌다.<사진=길애경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