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스페이스③]스타트업, 글로벌기업, 투자사, 국가 등 '우주개척' 사활
우주대중화, 인류 공헌 등 목표···바이오 등 다양한 업종서 진출

  미국의 실리콘밸리는 세계 IT혁신의 정중앙이다. 굳이 여러 기업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구글, 페이스북, 애플 단 3개 기업 존재만으로도 그 실체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실리콘밸리가 IT혁신의 중심이라는 표현이 절반만 맞는 말이 됐다. 시애틀과 샌프란시스코, LA를 가로지르는 미국 서부 대도시 일대에서 보이지 않는 기술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바로 '우주혁명 - 뉴 스페이스' 물결이다. 19세기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서부개척시대를 이끈 '골드러시'처럼 일명 'New Space'라는 이름으로 우주판 골드러시가 번지고 있다. IT 시대를 넘은 민간 우주 시대의 부상이다. 미국과 함께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공격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우주를 무대로 무한한 상상력과 대대적인 투자, 그리고 우주 스타트업들의 공격적인 창업으로 주목받는 미국 서부와 일본의 뉴 스페이스 러시 현장을 다녀왔다.

  대덕넷은 '우주혁명 - 뉴 스페이스'라는 이름으로 선진 우주개발 현장을 기획보도한다. ① 우주판 골드러시 ② 왜 우주로 뛰어드나 ③ 우주 스타트업 생태계와 특징 ④ 우주문화 등 미국 편에 이어 일본 편 시리즈가 연재될 예정이다.[편집자의 편지]

미국 실리콘밸리의 중심부 팰로앨토에 소재한 글로벌 우주기업 SS Loral. 지난 1957년 설립된 이 회사는 팰로앨토 주변 일대에 30개가 넘는 사무실과 제조시설들이 점 조직으로 퍼져있다. 통신위성을 중심으로 우주 시스템 제조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전통적 우주개발 기업에서 최근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소행성 탐사와 위성정보 서비스 등 뉴스페이스 사업에 대한 도전에 착수한 것. 우주 발사체 비용 절감과 군집 위성 체계의 등장 등으로 우주산업계의 변화가 현실화되면서 위기의식을 느낀 이 전통 우주기업은 애리조나주립대, 스타트업들과 연대해 NASA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우주 기업 SS Loral.<사진=대덕넷>
글로벌 우주 기업 SS Loral.<사진=대덕넷>
웬디 르위스(Wendy Lewis) SS Loral 커뮤니케이션부장은 "기존 우주기업과 스타트업은 상호 보완관계라고 생각하며 소행성 탐사 위성 개발과 같은 새로운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면서 "스타트업과는 전시회를 통해 각종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과는 기술개발 협력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간 주도의 '우주혁명'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항공우주분야 거대기업들도 '뉴 스페이스'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보잉, 탈레스아레나스페이스 등에서 뉴 스페이스 스타트업과 협력하거나 콘퍼런스 현장을 찾아 우주 스타트업 무리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변화하는 물결 속에 안주하면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다.

기업들 뿐만 아니라 벤처투자기업들과 엔젤투자업계도 마찬가지다. 과거 스페이스X의 성공에 자극받은 투자자들은 뉴 스페이스의 숨은 진주 찾기에 혈안돼 있다.

최근 글로벌 컨설팅기업 타우리(TAURI) 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우주산업에 투자된 금액은 49억9700만 달러(약 5조6400만원). 2000년대 초부터 5년 단위로 살펴보면 벤처캐피탈 투자, M&A 투자금액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총 투자액은 이전 5년 대비 2배 이상, 그 전 5년 대비 약 4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주 전문 세계 최대 엔젤투자협의체를 이끌고 있는 조 랜든(Joe Landon) Space Angel Network 의장은 "우주산업에서 위성데이터, 채굴 산업이라는 양대 축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탑재체 발사, 광물 추출, 위성통신 등 우주 전분야에 대한 투자에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와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자료=Tauri 그룹>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와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자료=Tauri 그룹>

2015년 글로벌 우주 예산.<자료=우주재단>
2015년 글로벌 우주 예산.<자료=우주재단>
◆ 왜 우주개발에 나서는가?···"기술 없어도 뉴 스페이스 투자"

'뉴 스페이스' 스타트업들과 투자자, 국가 등 각 우주개척 주체들은 저마다의 이유를 들며 새로운 우주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들의 목표는 두루뭉실한 추상적인 것이 아니다. 단순하고 명확하다. 스타트업들은 '인류기여'와 '우주대중화' 실현을 목표로 과감한 도전에 나서고 있으며, 투자사들은 '고위험'을 안으면서도 '고수익'을 실현하겠다는 것이 그 이유다.

2030년까지 전략을 통해 우주 개척에 뛰어든 포르투갈.<사진=대덕넷>
2030년까지 전략을 통해 우주 개척에 뛰어든 포르투갈.<사진=대덕넷>
국가 차원에서도 뉴 스페이스 투자 물결이 거세다. 우주개발 투자에 적극적인 각국 정부들은 전략을 갖고 우주시대를 선점하고 이에 따른 요소기술을 산업에 활용하겠다는 이유를 내세우며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국가별로 새로운 우주시장 개척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정책적 의지가 내재돼 있다. 기존 산업의 경쟁력이나 기술력은 큰 장벽이 되지 않는 분위기다.

우주투자에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국가로는 포르투갈과 룩셈부르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국가적인 차원의 전략을 갖고 '뉴 스페이스'에 접근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유럽의 소국 룩셈부르크는 국가를 대표하는 '금융허브'라는 브랜드가 '우주광물탐사 대표 국가'로 바뀔 정도로 우주개발 투자 의지가 강하다. 룩셈부르크 정부에서는 뉴 스페이스에 대한 벤처캐피탈을 설립해 광물탐사 대표 기업인 Planetary Resources, Deep Space Industries에 대대적인 투자를 펼치고 있다. 일본 Ispace 등과도 국제협력을 통해 우주탐사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 우주 2030' 전략을 기반으로 대서양국제연구센터(AIR 센터)를 설립하고 뉴 스페이스 기술을 통한 위성 데이터 확보, 우주탐사 기술 확보 등에 나설 계획이다.

당장에 우주기술이 실현되지 않더라도 해양 데이터 축적을 시작으로 데이터를 축적하고 전세계에 영향력을 주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마누엘 헤이토르(Manuel Heitor) 포르투갈 정부 과학기술·고등교육부 장관은 "대서양 우주공항 프로젝트 관련 미국, 브라질 등과 연계해 국제 협력 플랫폼 구축, 기후 통합 연구, 지구 관측, 에너지, 우주, 해양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현재 대서양국제연구센터(AIR center)에서 해양 모니터링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더 나아가 우주 공간을 모니터링해 전세계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아직 우주 산업에 뛰어들지 못했지만 정부 차원의 진출이나 접근을 모색하는 국가들도 있다. 일본, 이스라엘, 인도, 캐나다 등이 대표적이다.

캐나다 정부 관계자는 "모국에도 Urthecast와 같은 우주 스타트업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창업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서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면서 "우주 관련 각종 회의, 모임 등을 찾으면서 이에 필요한 정책적 접근 방향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 스페이스가 눈앞에. 재사용로켓(좌)와 'Psyche' 소행성(우).<사진=대덕넷>
뉴 스페이스가 눈앞에. 재사용로켓(좌)와 'Psyche' 소행성(우).<사진=대덕넷>

Google Lunar X 프로젝트에 도전하고 있는 이스라엘 기업.<자료=2017 New Space 발표 자료 캡처>
Google Lunar X 프로젝트에 도전하고 있는 이스라엘 기업.<자료=2017 New Space 발표 자료 캡처>
◆ 바이오 등 다양한 업종에서도 우주혁명 뛰어들어···"인류문제 해결"

실리콘밸리 현장에서 만난 우주 스타트업, 투자 관계자들은 우주 개척 이유에 대해 인류의 전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바이오기술을 기반으로 인적네트워크를 구성해 우주 산업에 도전하고 있는 존 컴버스 Synbiobeta 설립자.<사진=대덕넷>
바이오기술을 기반으로 인적네트워크를 구성해 우주 산업에 도전하고 있는 존 컴버스 Synbiobeta 설립자.<사진=대덕넷>
지난해 말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의 NASA 제트추진연구소 인근에 설립된 Astro labs는 소형 위성과 관련된 가상시뮬레이션, 평가 등의 원스톱 컨설팅을 제공하는 2인 스타트업이다. 로익 차뻬즈(Loic Chappaz) Astro Labs 미션설계총괄책임자는 "뉴 스페이스는 명백한 기회"라면서 "우주에 대한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과정에 필요한 임무 설계, 시뮬레이션, 위험성 분석 등 통합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항공우주분야 뿐만 아니라 바이오, 환경, 예술 등 여러 산업에서 자신들의 기술을 활용해 우주에 접목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다. 

생태학자인 존 파크스(John Parks)는 올해 미국 하와이주에 ExoSci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하고 우주영역에 대한 도전에 착수했다. 그는 "생태학은 화성식민지화 등 인류의 우주 개척 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학문"이라면서 "지구 밖 환경에서 인류가 적대적인 환경과 도전에 맞서 번영하기 위해 우주 스타트업, 기업인, 정부조직 등과 함께 파트너십을 구축해 화성 거주, 탐사 등과 관련된 기술적, 전략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바이오 분야에서도 우주 도전에 나서고 있다. 존 컴버스(John Cumbers) Synbiobeta 설립자는 바이오 기업 중심의 가상 협의체를 이끌면서 각종 우주 관련 회의, 이벤트 등의 교류 모임을 주최하고 있다.

존 컴버스 설립자는 "스페이스 X의 성공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우주 산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만 우주 식량, 우주 자원 활용과 같은 우주 발사 이후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이러한 부분은 바이오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보며, 궁극적으로는 자외선을 통한 광합성 처럼 바이오전자광합성 기술을 우주에 도입해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인류의 우주 개척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바이오의 우주 적용 분야.<사진=New Space 2017 발표자료 캡처>
바이오의 우주 적용 분야.<사진=New Space 2017 발표자료 캡처>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