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등 60개 대학 전임교수 417명 공동 성명

60개 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417명이 참여한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이 이같은 성명서를 제출했다.<사진=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 제공>
60개 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417명이 참여한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이 이같은 성명서를 제출했다.<사진=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 제공>
문재인정부의 성급한 에너지정책에 공과대학 교수들이 재차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60개 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417명이 참여한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은 5일 오전 10시 30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리적인 에너지 공론화가 필요하며 국회를 비롯한 국가의 정상적 의사결정체계가 작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명서를 통해 교수진은 이미 2008년에 수립돼 매 5년마다 보완되는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과 매 2년마다 수정되는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숙의를 통해 수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수진은 "대통령의 선언 하나로 탈원전 계획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제왕적 조치가 아니다"고 반문하며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을 논하기 위해서는 응당 탈원전 정책의 당위성을 먼저 논의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에너지 안보 위기 문제도 제기됐다. 교수진은 "숙의되지 않은 탈원전 정책 추진은 향후 민생부담 증가, 전력수급 불안정, 산업경쟁력 약화, 에너지 국부유출, 에너지 안보 위기 등을 야기할 수 있다"라며 "값싼 전기를 통해 국민에게 보편적 전력 복지를 제공해 온 원자력 산업을 말살시킬 탈원전 정책의 졸속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에너지 문제에 관해 편견과 부정확한 정보로 대통령을 보좌하는 일부 보좌진 의견뿐만 아니라 해당 전문가들의 의견도 경청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국회 등 국가의 정상적 의사결정체계를 작동시켜 충분한 기간 동안 전문가 참여와 합리적인 방식의 공론화를 거쳐 장기 전력 정책을 수립해야함을 강조했다.

이번 성명서 발표는 지난 6월 1일 성명서에 이어 두 번째다. 앞서 1차 성명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안전 우선 친환경 에너지 정책 패러다임 공약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속전속결식 탈원전 정책 추진을 지양하고 전문가의 심도 있는 논의와 공론화를 통해 국가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1차 성명서에는 23개 대학 교수 230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번 성명서 발표에 참여 대학은 공과대학 소속 79명의 전임교수가 참여한 서울대학교(82명)를 비롯해 부산대학교(58명), KAIST(43명), 조선대학교(32명), UNIST(15명), 경희대학교(16명), 한양대학교(17명), 중앙대학교(13명) 등 60곳이다. 퍼듀대(Purdue), 미시간대(U. Michigan) 등 외국 대학 4곳도 포함됐다.

참여 교수는 주한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성풍현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 등 전임교수만 417명이다. 비전임 교수 33명도 참여했다.

한국원자력학회(회장 황주호)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한국원자력산업회의는 지난달 8일 고리 1호기 퇴역기념 심포지엄을 열어 발표한 '원자력 안전과 편익 대국민 설명서'에서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원자력이 필요한 이유 9가지를 들었다.

구체적으로 ▲안전성을 실증한 오랜 가동 이력 ▲지진에도 강건한 원전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관리 및 처분 ▲세계 최저 수준의 전기료 ▲ 준국산이라 에너지 수입액 절감 ▲ 기술자립으로 외화 획득과 고용창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걱정 없는 환경보호의 주역 ▲에너지 안보의 주역 ▲원전의 지속적 이용은 세계적인 대세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아래는 성명서 전문.

전문가 의견수렴과 합리적인 공론화 과정을 통해 장기 전력 계획을 수립하라

우리는 지난 6월 1일자 성명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안전 우선 친환경 에너지 정책 패러다임 공약을 지지한다고 밝히고, 속전속결식의 탈원전 정책 추진을 지양하고 전문가의 심도 있는 논의와 공론화를 통해 국가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런데 6월 27일 발표된 신고리 5,6 호기 건설 중단 공론화 계획을 보고 통탄을 금치 못한다.

신고리 5,6 호기 건설 중단 공론화는 6월 19일 고리1호기 영구정지 행사 연설에 나타난 대통령의 탈핵 국가 출발 선언을 기반으로 한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 추진의 첫 번째 조치로 이미 29%의 공정이 진행되어 매몰비용이 2조 5000억원을 상회할 신고리 5,6 호기 건설 공사 중단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성급하게 추진하려고 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2008년에 수립되어 매 5년 마다 보완되는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과 매 2년 마다 수정되는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숙의를 통해 수정하지 않고 대통령의 선언 하나로 탈원전 계획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제왕적 조치가 아닌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논하기 위해서는 응당 탈원전 정책의 당위성을 먼저 논의해야 되는데 이런 논의를 비전문가이면서 향후 책임도 질 수 없는 소수의 배심원단 앞에서 3개월의 단기간 동안만 진행하고 결정을 내린다는 것이 속전속결이 아니고 무엇인가?

국가 전력 정책은 수십 년 동안 국민 생활과 국가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매우 중요한 정책이다. 숙의되지 않은 탈원전 정책 추진은 향후 민생부담 증가, 전력수급 불안정, 산업경쟁력 약화, 에너지 국부유출, 에너지 안보 위기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정부에 요구한다.

첫째, 지금까지 값싼 전기를 통해 국민에게 보편적 전력 복지를 제공해온 원자력 산업을 말살시킬 탈원전 정책의 졸속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둘째, 왜곡이 많은 대통령 연설문에서 드러나듯이 에너지 문제에 관해 편견과 부정확한 정보로 대통령을 보좌하는 일부 보좌진 의견뿐만 아니라 해당 전문가들의 의견도 경청하라.

셋째, 국회 등 국가의 정상적 의사결정체계를 작동시켜 충분한 기간 동안 전문가 참여와 합리적인 방식의 공론화를 거쳐 장기 전력 정책을 수립하라.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