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 아이디어는 도대체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3일자 조선일보 '실전 MBA'는 혁신의 제1조건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창의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요소일 수 밖에 없는데요. 그러나 훌륭한 아이디어의 유효기간은 갈수록 짧아진다는 반전 매력이 있죠. 혁신적 아이디어는 도대체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창의력과 혁신의 출발점은 '의심'이라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경영자는 의심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대개 리더는 의심하고 있음을 내비쳐서는 안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창의적인 생각을 원한다면, 지금 알고 있는 모든 것이 맞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이제까지 우리 회사가, 우리 부서가 일해 온 방식이 앞으로도 효과가 있을지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통하고 있는 성공 방정식이 과연 깨지지 않을 것인지 의심해야 합니다.

아무리 훌륭한 기업 리더나 부서 관리자라 해도 현상에 의존하고 기존 틀로 생각하는 사람일 뿐입니다. 일부러 시간을 내서 의도적으로, 정기적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데 쓰고 있는 가정과 틀을 점검해봐야 한다는 건데요. 이를 통해 바꾸어야 할 틀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혁신적 아이디어가 하나도 안 나와도 많은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네요.

기업가들의 성공은 다른데 있지 않았습니다. 그저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면 됩니다.^^

대덕넷이 뽑은 오늘의 뉴스 전해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1. [매일경제]美·日·유럽 첨단센서도 장악…한국은 이제야 `시제품` 개발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갤럭시S5. 크기는 5.1인치로 커졌지만 핵심 부품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는 전작인 갤럭시S4와 유사하고 모바일 D램 용량도 S4와 동일하게 유지해 `스펙 다운(사양을 낮춘 것)`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갤럭시S5에는 고가의 핵심 칩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는 `지문센서`와 맥박을 계산하는 `심박센서` 등을 추가해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췄다.

2. [중앙일보]GM, 57센트의 교훈

“나도 모르겠다.”

1일(현지시간) 미 의회 청문회에 선 제너럴모터스(GM) 메리 바라 최고경영자(CEO)의 고백이다. 그는 GM이 사소한 부품 결함을 10년씩이나 바로잡지 않아 최소 13명의 인명 피해를 낸 이유를 의원들이 따져 묻자 이같이 답했다.

GM의 늑장 리콜은 CEO조차 이유를 모르겠다고 답했을 정도로 미스터리다. GM 기술진이 쉐보레 코발트 등 소형 모델의 점화장치 하자를 인지한 것은 1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바라 CEO에게 보고된 것은 올 1월 31일이었다.

3. [한국경제]중앙대, 삼성·LG 손잡고 소프트웨어 인재 키운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두산그룹 회장을 지낸 박용성 중앙대 이사장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로 키워내지 못하는 한국의 대학교육 현실을 개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경제단체장으로 기업인들을 만나고, 최고경영자(CEO)로 직접 신입사원을 뽑으면서 ‘기업이 원하는 인재’와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의 간극을 수십년간 경험한 그의 일관된 소신이다.

4. [중앙일보]베저스의 WP 리모델링 "온라인·디자인·브랜드가 답이다"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의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저스가 미국 3대 일간지 중 하나인 워싱턴포스트(WP)를 2억5000만 달러(약 2800억원)에 인수한 건 지난해 8월이었다. 전 세계 미디어 업계는 올드미디어 시장에 발을 담근 베저스의 첫 수가 뭔지를 주의 깊게 기다려 왔다. 그로부터 8개월, 마침내 베저스의 WP가 변화에 시동을 걸었다. 방향은 두 갈래다. 디지털 분야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 확대, 그리고 브랜드 가치의 확대다. 당연해 보이는 방향이지만 그 중심에 아마존을 키운 베저스가 있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5. [조선일보]혁신의 제1조건 '의심하라, 또 의심하라'

농담 섞인 안부 인사와 신변잡기 대화도 잠시, 곧 말소리가 잦아든다. 어색한 시선이 오간다. 괜히 커피를 한 모금 마셔본다. 회의를 주재하는 상무님 얼굴에 짜증이 역력하다. 진땀이 나기 시작한다. 스스로 주문을 건다. '생각나는 대로 편하게 말하자. 세상에 틀린 아이디어란 없다. 기존 틀에서 벗어나 생각해 보자.'

샐러리맨이라면 누구나 겪어 봤을, 고통스러운 브레인스토밍 회의 풍경이다. 안타깝지만, 이런 회의에서 나오는 아이디어는 쓸모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6. [매일경제]자본주의적 성장은 계속될까

현재가 과거 세대 삶보다 나을 것이라는 믿음은 현대 사회의 기본 교리다. 선진 경제권들은 전쟁과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믿음을 실천에 옮겨 왔다. 이제는 개발도상국 대부분 사람들도 생활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래 세대들도 그럴 수 있을까.

토머스 맬서스에서 카를 마르크스에 이르기까지 비관적 예측은 빗나갔다. 기술 진보는 경제적 성장을 이끌어냈다. 때때로 정치적인 위험에 처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인류는 혜택을 받았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