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여름 프랑스 '말벌의 번성'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유전자 결실을 우회하도록 고안된 새로운 약물인 'PTC124'가 임상 2상 시험에서 효과를 입증했다.

낭포성 섬유증은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유전질환 중 하나로 미국에서만 약 3만명 정도의 성인 및 소아환자가 있고 유럽 내에도 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 질환은 3500명 중 한 명꼴로 발생, 매년 미국 내 약 1000명이 새롭게 진단된다. 낭포성 섬유증은 폐나 다른 기관에 과도한 점액이 축적되는 질병으로 낭포성 섬유막 전도성 조절자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FTR은 세포막을 가로질러 염소 이온을 수송, 폐와 췌장 같은 조직에서 적정 수화 수준을 유지하는 막 단백질이다. 그러나 CTFR에 발생한 돌연변이로 체내에서 고점액 물질이 생산되고, 염분이 점막 생성세포를 투과하지 못하여 두껍고 끈적거리는 점막이 만들어진다. 염증이나 세균감염 또는 점진적인 조직 파괴가 일어난다. 현재 CFTR 단백질의 생산 및 기능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치료제는 없으며 단순히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이 존재할 뿐이다. [전문바로가기]

◆2008 여름 프랑스 '말벌의 번성'

ⓒ2008 HelloDD.com

프랑스 여러 지역에서는 말벌군집이 번성기를 맞고 있다. 따뜻한 겨울 덕분에 먹이가 풍부해졌기 때문이다. 올 여름 프랑스 서부 몇몇 지역을 중심으로 유난히 말벌이 기승을 부려 피서객들에게 달갑지 않은 놀라움을 주고 있다.

말벌은 무척 탐욕스럽고 특히 동물성을 좋아한다. 말벌은 고기를 잘게 잘라 삶은 고기처럼 만들고 유충에게 분배한다. 당분이 들어간 음료수는 말벌에게 에너지를 공급, 이동을 돕는다. 그러다 보니 수분을 많이 섭취하게 된다.

개체들의 번식을 촉발할 수 있는 요인은 우선 온화했던 겨울에 있다. 겨울이 따뜻하면 여왕벌의 생존율이 높아지고 종이 유지·번성된다. 또 다른 요인은 봄철에 새로 태어난 말벌 군집들에게 많은 먹이가 공급됐다는 점. 말벌이 먹이로 취하는 곤충·송충이·기타 유충들이 많아짐으로써 말벌 군집이 팽창하게 됐다는 것이다. [전문바로가기]

◆치밀한 조직, 암 더 악성적

반더빌트-잉그램 암 센터 연구자들이 왜 치밀한 유방 조직을 가진 여성에서 유방암이 더 악성적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잠재적인 세포적 기전을 보고했다. 연구는 치밀하고 단단한 주위 환경에서 자란 유방암 세포가 더 침투적인 활동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줬다.

유방 조직은 유관조직과 지방세포로 구성돼 있는데 지방 조직이 아닌 유관조직으로 구성된 경우 유방 조직이 조밀하여 조밀형 유방이라고 한다. 유방의 지방세포는 암세포로 전환될 가능성이 적지만 유관조직세포는 암세포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조밀형 유방은 암이 생길 위험성이 높다.

연구팀은 인바도포디아라고 하는 손가락처럼 생긴 세포의 돌기에 관심을 가졌다. 이 구조는 암세포가 세포외적 기질 안에 구멍을 낼 때 이용한다. 기질 분해 효소가 인바도포디아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이 구조는 암 침투에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전문바로가기]

◆연료 전지차 실용화? 20~30년 후

'차세대 에코카'의 대표인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메이커의 개발 경쟁 및 PR 활동이 심화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가솔린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비는 일반적인 가솔린차의 약 1/10로 억제될 것으로 여겨진다. 같은 차세대 에코카로서는 연료 전지차도 있다.

연료 전지차는 탱크 내의 수소를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반응시켜 발전함으로써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조이지만,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1대당 비용이 수천만엔에 달한다. 또 주유소와 같은 수소 스테이션의 정비도 큰 과제로 남아 있어 일반적으로 보급되기에는 20~30년은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지배적인 견해이다.

이에 비해 전기 자동차는 거의 실용화가 눈앞에 와 있어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닛산의 실험 차량은 NEC와 공동 개발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설치, 새롭게 개발한 모터와 전기 시스템을 탑재해 주행 성능을 높였다. 6시간 정도의 충전으로 약 160km의 거리를 달릴 수 있으며, 추가적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바로가기]

[자료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해외과학기술동향]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